서른 두 살의 평범한 직장인 영이 씨는 어렸을 적, '현모양처'로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는 것이 꿈이었습니다.<br /><br />듬직한 남편, 토끼 같은 자식들과 함께 하는 것이 자신의 미래라고 생각했었죠.<br /><br />하지만, 지금은 생각이 좀 많이 달라졌는데요.<br /><br />현실은 꿈만큼 그리 녹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영이 씨처럼 생각이 달라진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결혼과 양육에 대한 생각, 어떻게 달라졌을까요?<br /><br />결혼을 하지 않고 살겠다는 비혼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혼이 필수라는 말은 먼 옛말이 되어버렸습니다.<br /><br />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5 결혼과 출산에 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20살에서 44살 미혼 남녀 2,383명이 조사 대상이었는데요.<br /><br />‘반드시 결혼을 해야 한다'고 답한 응답자는 미혼 여성의 8%, 미혼 남성의 18%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비혼족이 늘어나다 보니, 요즘에는 혼밥, 혼맥 등 혼자 생활하는 사람과 관련한 일상용어들이 속속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요.<br /><br />미혼 남녀들이 이렇게까지 결혼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뭘까요?<br /><br />[이호선 / 숭실사이버대 교수 : 현실적인 어려움이 가장 크죠. 경제적인 어려움인 것인데 첫 번째로는 취업이 안 되고요. 첫 번째로는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결혼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요. 특별히 집을 하나 구하려고 하면 사실은 1년에 2000만 원씩 힘들게 모은다고 하더라도 한 7, 8년 이상 꼬박 모아야 집을 얻을 수 있으니까 보통 문제가 아니고...]<br /><br />자녀에 관한 가치관도 예전과는 달라진 듯 합니다.<br /><br />미혼 여성 30%, 미혼 남성 18%는 자녀가 없어도 상관이 없다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[이호선 / 숭실사이버대 교수 : 많은 결혼한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까 결혼은 힘들고, 애 키우는 데 3억이 든다 이러니까 아직 해 보지 않은 결혼에 대해서 예기불안을 하게 됩니다. 사람은 예기불안을 갖게 되면 시작하지도 않은 일에 지레 겁먹고 아예 선택을 안 해버리는 것이거든요. 도피를 하고 회피를 할 수밖에 없는 게 사람의 심리이기 때문에...]<br /><br />아이 돌보는 일이 하루 3시간 미만일 때 부모는 육아에 대한 행복감과 가치를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육아정책연구소가 앞서 발표한 보고서인데, 양육시간이 하루 3시간 미만인 집단의 육아에 대한 행복감이 4점 만점에 3.54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.<br /><br />또, 양육 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72218064241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